일곱 성인의 소환
덱 리스트
덱 코드
EZDRyV8MEbBxy2INFhAg0ZwVCaDA450OCTDR9FcPFWFxip4YGaHglr0aDCFAD8QUDNAA
개요
- 덱 난이도: 보통
- 등장 버전: 5.1
- 기준 버전: 5.4
- 덱 성격: 컨트롤
특징
- 용암철갑 제왕의 두꺼운 보호막에 도금여단의 특수장비 효과로 추가적인 피해감소까지 받아 용암철갑 제왕의 방어능력을 극단적으로 강화한 덱
- 다른 게딱지덱과 달리 무빙을 거의 하지 않으며 게가 혼자 싸우는 운영을 함
※ SH 팀장 Alkanist 작성
캐릭터별 역할
레일라
- 1턴 또는 2턴에 원소전투스킬을 1회 사용하여 보호막과 유성을 생성한 뒤, 이후 게가 혼자 남아 싸울 때 유성 추가타로 딜링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도금 여단 모래의 이야기꾼 (이하 도금여단)
- 원소폭발로 특수장비를 생성한 뒤, 용암철갑 제왕에게 장비시켜 방어력을 늘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용암철갑 제왕(이하 게)
- 레일라의 유성과 도금여단의 특수장비를 장착한 뒤 높은 보호막으로 상대의 공격을 모두 버티며 적을 모두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 자신이나 다른 캐릭터가 장비한 견고한 천암, 장수의 투구 성유물로 매 턴 시작시 보호막을 2씩 공급받으며 특성을 장착하는 경우 추가 보호막 2를 더 얻습니다.
- 견고한 천암 성유물과 동료 서포트 카드 엘린으로 주사위 이득을 보며 원소스킬로 보호막을 무한히 쌓습니다.
- 도금여단 특수장비를 장착한 상태에서 공격당할 때 자신의 원소에너지를 감소시키고 피해를 1 상쇄한 뒤 스택을 쌓습니다. 이것으로 방어능력이 더욱 올라가고 원소폭발을 사용하기 어려운 대신, 높은 스택을 채운 특수장비로 적을 한 번에 제거할 수 있습니다.
덱 전략
멀리건
보호막 관련 카드: 용암철갑(게 특성), 견고한 천암, 장수의 투구
램핑 관련 카드: 카운트다운, 두냐르자드, 본이, 데마로우스
상대방이 초살덱인 경우: 투쟁의 날(비기)
1순위로는 게에게 매턴 보호막을 2씩 제공해줄 수 있는 게 특성과 견고한 천암 성유물을 집습니다. 천암이 없다면 장수라도 집습니다. 레도게는 꼭 3명의 캐릭터가 모두 성유물을 찰 필요는 없습니다. 최종적으로 게에게 풀 세팅을 해주고 나머지 캐릭터는 성유물을 장착하고 살아있으면 좋고, 그게 무리라면 깔끔하게 버리는 전략을 취합니다.
보호막카드 다음으로는 빠른 덱압축을 위해 램핑카드를 집습니다. 카운트다운을 집으면 필요한 카드를 빠르게 공급할 수 있고 첫 주사위가 좋지 않더라도 보정할 수 있습니다. 두냐르자드와 동료축 카드들은 장기적인 이득을 볼 수 있으니 좋습니다.
비기인 투쟁의 날은 상대방이 1턴킬 플랜을 가진 초살덱인 경우에만 가져갑니다. 그렇지 않다면 덱으로 밀어넣습니다.
1턴
일반적으로 레일라를 선출합니다. 만약 게 특성이 있고 상대가 선공이며 첫 행동으로 원소를 부착시키는게 확실한 경우(ex: 피슬) 게로 선출한 뒤 특성을 써도 좋습니다.
1턴에는 가급적 장비 장착과 램핑카드를 통한 드로우 및 덱 압축을 우선합니다. 만약 천암없이 장수만 나왔고, 다른 램핑카드들이 충분하다면 램핑을 우선합니다. 게에겐 가급적 천암을 찾아서 장착시켜줍시다. 상대가 초살덱이라면 선출 캐릭터에게 투쟁을 줘 버티게하고 그렇지 않다면 적당히 모든 주사위를 장비 장착 및 램핑(카운트 두냐 본이 데마 등)에 전부 소모합니다. 주사위를 소모할 카드가 없다면 그냥 레일라 E를 사용해줍니다.
만약 게 특성이 나온 경우 게 특성을 먼저 장착하고 레일라 E를 사용하면 게 특성이 바로 발동되어 보호막 4가 공급되니 게 특성을 멀리건으로 잡고 레일라가 E를 칠 주사위가 남는다면 그렇게 플레이하는 것도 고려해봅시다.
황금극단의 보상이 나왔다면 도금여단에게 장착해줍니다.
2턴
레일라 E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레일라 E를 사용합니다. 사용했다면 도금여단으로 이동해 적의 공격을 맞아줍니다. 도금여단은 자신의 체력이 7이하일때 피해를 받으면 1턴에 1번 자신의 원소에너지를 1칸 채울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적에게 맞아 에너지를 채우고 직접 공격해 1칸을 더 채워 원소폭발을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상대의 딜이 거세지 않다면 추가적인 램핑이나 장비를 장착하고 원소폭발을 3턴에 쓰는 걸 목표로 해도 좋습니다. 다만 상대방의 남은 주사위와 소환수를 통한 딜 계산을 분명히 하고 도금여단이 죽지 않는것을 확실하게 확인합시다.
경우에 따라 도금여단으로 공격하지 않고 맞아서 원소에너지만 채운 다음 레일라로 다시 이동해 레일라를 희생시킨 뒤 3턴에 도금여단으로 맞아줘서 원소에너지를 채우는 방법도 있습니다. 또한 상대가 빙결덱이 아닌 경우 적절한 타이밍에 짜잔카드를 이용해 원소에너지를 채워줘도 좋습니다.
또한 상대가 관통 위주의 덱인 경우 레일라나 도금여단으로 맞아줄 때, 게가 초전도, 감전, 스칸다 씨앗 등의 대기 캐릭터 관통 데미지로 죽을 가능성이 있으니 그 부분을 특히 주의해서 플레이해야합니다. 이 경우에는 게로 직접 맞아줘 관통 데미지가 들어오지 않도록 조절하는 플레이가 필요합니다.
3턴 이후
게로 상대방이 전부 죽을때까지 원소전투스킬만 씁니다. 엘린이 나온다면 엘린을 씁니다. 엘린 사용시 게가 E를 다시 사용할 때 코스트가 절약되는데, 원소 주사위를 줄여주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큰 도움이 됩니다.
상대방의 키 캐릭터를 한방에 죽여야 하는 경우 충분한 스택을 쌓은 도금여단 특수장비의 특수스킬로 잡아도 좋습니다.
특정 카드의 활용법
투쟁의 날 (비기)
일반적으로 상대가 1턴 초살덱일때 멀리건으로 가져가 출전 캐릭터에게 사용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 타이밍에 주의해야합니다.
투쟁의 날을 게에게 사용하는 경우 그 턴의 가장 첫 번째 행동으로 투쟁을 사용해야합니다. 게의 보호막은 매 턴 첫 행동을 하고나서 갱신이 되는데, 만약 다른 카드를 사용하거나, 캐릭터 카드로 행동을 하거나, 이동 등을 했다면 게의 보호막이 갱신되고 투쟁의 피해감소 효과는 게의 보호막보다 후순위로 밀려나 게의 보호막이 0이 되기 전까지는 투쟁으로 피해감소 효과를 받을 수 없습니다!
게의 원소전투스킬 데미지
게는 자신의 보호막(게딱지)이 7이상이면 E 사용시 데미지가 +1 추가됩니다. 만약 자신의 턴 시작 시 게딱지와 천암보호막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게딱지만의 수치가 7미만이라면 E의 데미지는 1 이 됩니다. 하지만 카드를 사용하거나 카드를 갈아버리면 특정 행동을 한 것으로 간주되어 게딱지가 갱신되고(천암 보호막이 사라지고 게딱지 보호막에 추가됨) 이것으로 게딱지의 보호막 수치가 7이상이 되면 E 사용시 데미지가 2가 됩니다. 이를 이용해 데미지를 조금이라도 더 넣을 수 있습니다.
게의 원소폭발
레도게는 특성상 게의 원소에너지가 계속 소모되어 게가 원소폭발을 쓰기 어렵습니다. 또한 원소에너지가 있어야 도금여단 특수장비의 피해감소가 작동하기때문에 궁을 마구 써도 안됩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막 쓰면 곤란한거지 필요할때는 써도 좋습니다. 게의 궁으로 상대방의 캐릭터 하나를 확실하게 제거하면서 큰 이득을 볼 수 있다면 그냥 써도 좋습니다.
엘린
엘린은 2턴까지는 쓸 일이 없는 카드입니다. 하지만 3턴 이후 엘린이 있다면 매 턴 게가 E를 2~3번씩 사용할 때 주사위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엘린을 2장 모두 깔아서 크게 이득을 보는 플레이를 합시다.
숲룡
상대가 장비 의존도가 크거나(무기나 도금, 그림자사냥꾼 등) 중요한 고코스트 특성(베넷 특성)을 사용하는 경우 레일라에게 장착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게에게 도금여단 특수장비를 장착시킨 후에 게에게 다시 숲룡을 장착하면 도금여단의 특수장비가 지워지니 그런 실수는 하지 맙시다.